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

[실전 공공 프로젝트 바로 투입~] 🚀 다섯 번째 이야기: 결전의 시간! 시험을 통한 품질 확보와 오픈 리허설 (5개월차: 시험 & 전환 준비) [실전 공공 프로젝트 바로 투입~] 🚀 다섯 번째 이야기: 결전의 시간! 시험을 통한 품질 확보와 오픈 리허설 (5개월차: 시험 & 전환 준비)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수다쟁이 PM입니다! 👋지난 4개월간 '구현의 엔진'을 뜨겁게 달렸던 우리 팀! 이제 우리가 만든 시스템이 얼마나 튼튼하고 똑똑한지, 세상에 나갈 준비가 되었는지 직접 확인하는 '결전의 시간'이 다가왔습니다. 이름하여 프로젝트 5개월차, '시험 및 품질 확보' 단계입니다! 🥳하지만 제가 여러 프로젝트를 겪어보니, 이 단계는 단순히 테스트만 하는 우아한 시간이 아니더군요. (현실은 언제나 드라마틱하죠! 😉) 이전 구현 단계에서 생긴 작은 지연들이 파도처럼 밀려와 여기서 ‘make up’ 해야 하고, 정신없이 테스트를 진행하는 와중.. 2025. 7. 1.
위험 및 이슈관리, PM의 심장을 쫄깃하게 만드는 '지뢰찾기'!💣 위험 및 이슈관리, PM의 심장을 쫄깃하게 만드는 '지뢰찾기'!💣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친절한 프로젝트 가이드, 수다쟁이 PM입니다! 🙋‍♀️선배 PM들 사이에서 농담처럼 하는 말 중에 이런 말이 있어요. "PM은 위험과 이슈만 잘 관리해도 프로젝트는 성공한다!" 이게 우스갯소리 같지만, 20년 넘게 이 바닥에서 뒹굴어보니 이거 정말 '진리'에 가깝더라고요. 그만큼 위험 및 이슈 관리가 중요합니다.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등골을 서늘하게 만드는 순간들이 있죠. "설마 이게 터지겠어?" 했던 일들이 현실이 되고, 고요했던 프로젝트가 순식간에 전쟁터로 변하는 경험, 다들 한 번쯤은 있으시죠? 😅오늘은 바로 이 예측 불가능한 전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PM의 필수 생존 기술, '위험 및 이슈 관리'에 대해 수다.. 2025. 6. 30.
Q. 프로젝트 종료 단계에 고객이 하자보수? 유지보수 계획에 대해서 제출해 달라는데, 하자보수와 유지보수의 차이가 뭔가요? Q. 프로젝트 종료 단계에 고객이 하자보수? 유지보수 계획에 대해서 제출해 달라는데, 하자보수와 유지보수의 차이가 뭔가요? 하자보수 계획서? 유지보수 계획서? 어떤 걸 써야 하고 어떤 내용으로 써야 하나요? 우리 프로젝트의 RFP에는 유지보수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요~A. 핵심은 계약 범위와 책임 주체입니다! 딱 3가지로 명확히 정리해 드릴게요. 💡하자보수 vs. 유지보수 핵심 요약:하자보수: 시스템 개발사 책임으로, 구축 시점에 발생한 결함/오류를 무상으로 수정해주는 활동.책임 기간: RFP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공공 프로젝트의 경우 통상 1년으로 진행됩니다.한 마디로 '공짜 A/S'! (원래 잘못 만들어진 부분 고쳐줘!)유지보수: 시스템 운영 단계에서 안정화, 성능 개선, 신규 기능 추가 등 유상으.. 2025. 6. 28.
성공적인 테일러링, 공공 정보화 사업에서의 체계적인 산출물 관리 비법 (feat. 폴더 및 네이밍 규칙) 공공 정보화 사업, 성공적인 테일러링과 체계적인 산출물 관리 비법 (feat. 폴더 및 네이밍 규칙)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수다쟁이PM입니다! 👋 오늘은 공공 정보화 사업에서 프로젝트의 성공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테일러링(Tailoring)'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특히 PM, PMO, QA 역할을 수행하시는 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테일러링의 개념부터 실제 산출물 관리 시 필요한 폴더 생성 및 네이밍 규칙까지 자세히 다뤄볼게요.참고로 오늘 제가 드릴 이야기는 NIPA의 'SW단계별 발주 가이드'와 NIA '전자정부지원사업 사업관리매뉴얼' 같은 공공 사업의 공식 가이드라인(룰북)을 기반으로, 현장에서의 경험을 더해 풀어나가는 내용이랍니다! 💡그럼, 본격적인 .. 2025. 6. 27.
[실전 공공 프로젝트 바로 투입~] 🚀 네 번째 이야기: 구현의 엔진을 풀가동! PM의 현장 지휘는 계속된다! (4개월차: 본격 구현 & 품질 확보) [실전 공공 프로젝트 바로 투입~] 🚀 네 번째 이야기: 구현의 엔진을 풀가동! PM의 현장 지휘는 계속된다! (4개월차: 본격 구현 & 품질 확보)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수다쟁이PM입니다! 👋 (오늘은 개발팀의 뜨거운 열기가 여기까지 느껴지네요! 🔥)지난 3개월차, 우리는 설계의 최종 승인을 받고 드디어 구현의 첫 삽을 떴었죠! 이제 4개월차는 그야말로 본격적인 구현의 시간입니다. PL과 개발팀은 코딩으로 불꽃을 튀기며 시스템의 살과 뼈를 단단히 채워나가야 하는 가장 바쁘고도 핵심적인 시기입니다. 💻✨하지만! 우리 PM, QA, PMO 등 사업관리 파트의 역할이 줄어드는 건 절대 아니라는 사실! 🙅‍♀️ 초반에 사업관리 문서 때문에 개발팀의 도움을 받았듯, 이제는 우리가 개발팀이 고품질의.. 2025. 6. 25.
[실전 공공 프로젝트 바로 투입~] 🚀 세 번째 이야기: 설계의 최종 승인! 이제는 코딩으로 승부다! (3개월차: 설계 마무리 & 구현 착수) [실전 공공 프로젝트 바로 투입~] 🚀 세 번째 이야기: 설계의 최종 승인! 이제는 코딩으로 승부다! (3개월차: 설계 마무리 & 구현 착수)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수다쟁이 PM입니다! 👋 (오늘은 평소보다 더 활기찹니다! 우리 PM님들의 열정 덕분이죠! 🤩)지난 2개월간, 우리는 시스템의 뼈대와 살을 붙이는 분석 및 설계 단계에서 밤낮없이 달려왔죠! 🏃‍♂️💨 요구사항이라는 까다로운 퍼즐 조각들을 맞추고, 기술적인 청사진을 그렸습니다. 이제 드디어 그 노력의 결실을 맺을 시간입니다! 바로 설계 단계의 모든 퍼즐 조각을 맞춰 최종 승인 도장을 받아내고, 이제부터는 눈에 보이는 결과물을 만들어나갈 '구현 단계'로의 본격 진입입니다! 🏗️💻 (짜릿함이 밀려오네요! ✨)3개월차는 설계의 정점.. 2025. 6. 20.
[실전 공공 프로젝트 바로 투입~] 🚀 두 번째 이야기: 분석의 완성, 설계의 시작! (2개월차: 분석 & 설계 단계) [실전 공공 프로젝트 바로 투입~] 🚀 두 번째 이야기: 분석의 완성, 설계의 시작! (2개월차: 분석 & 설계 단계)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수다쟁이 PM입니다! 👋지난 한 달, 정신없이 프로젝트의 첫 발을 내딛고 초기 세팅을 마무리하느라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이제 조금 숨 돌릴 만한가 싶지만… 쉴 틈은 없습니다! 공공정보화사업의 특성상 우리는 언제나 시간과의 싸움을 해야 하니까요. 🏃‍♂️💨2개월차는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명확히 하고, 분석 단계를 단단하게 마무리함과 동시에, 본격적인 시스템의 뼈대를 세우는 '설계 단계'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상적으로는 분석 단계를 완벽하게 끝내고 설계로 넘어가는 것이 좋겠지만, 촉박한 일정 속에서는 분석 단계의 최종 검토 및 승.. 2025. 6. 18.
[실전 공공 프로젝트 바로 투입~] 🚀 첫 걸음의 시작! (1개월차: 착수 & 분석단계) [실전 공공 프로젝트 바로 투입~] 🚀 첫 걸음의 시작! (1개월차: 착수 & 분석단계)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수다쟁이 PM입니다! 👋길고 길었던 제안과 경쟁의 터널을 지나, 드디어 계약서에 '쾅!' 도장을 찍고 나면... 이제 진짜 전쟁의 서막이 오릅니다. 이름하여 프로젝트의 첫발! '착수 단계'와 '분석 단계의 시작'이죠! 🥳앞에서 공공 프로젝트(SI)의 착수부터 종료까지 쭈~욱 훑어 보았으니, 이제부터는 말 그대로 '실전 프로젝트'를 함께 시작해 볼까요? 특히 이번 연재에서는 폐쇄망 환경에서 고군분투해야 하는 SW 개발 프로젝트의 매주 벌어지는 리얼한 이야기들을 생생하게 전달해 드릴 예정입니다! (궁금해하실 산출물 서식들과 주옥같은 참고자료들은 추후에 '수다쟁이PM의 네이버 카페'를 통해.. 2025. 6. 16.
PM도 알아야 하는 개발 상식 깨알톡: JAVA 기반 프레임워크! (Spring, Spring Boot,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 안녕하세요, 수다쟁이 PM입니다! 🙋‍♀️ IT 개발 현장에서 가장 많이 들리는 언어 중 하나가 바로 'JAVA'죠? 그리고 그 자바 개발을 든든하게 지탱해 주는 기둥 같은 존재들이 있습니다. 바로 Spring, Spring Boot, 그리고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인데요! 🤔프로젝트 관리자(PM), 사업관리자(PMO), 품질관리자(QA) 등 정보화 사업을 이끄는 전문가분들이라면, 이 세 가지 프레임워크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다른지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발자들과의 원활한 소통은 물론,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품질을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지식이니까요! ✨ 오늘은 이 세 가지 프레임워크의 핵심 개념을 쉽고 재미있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1. JAVA 개발.. 2025. 6. 13.
공공 프로젝트(SI) 종료 단계: 대장정의 마지막! '프로젝트 종료 단계' 깔끔하게 마무리하기! (PM의 완벽주의 대공개! 🧐) 공공 프로젝트(SI) 종료 단계: 대장정의 마지막! '프로젝트 종료 단계' 깔끔하게 마무리하기! (PM의 완벽주의 대공개!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수다쟁이 PM입니다! 👋길고 길었던 프로젝트의 여정이 드디어 마지막 페이지를 넘기려 합니다! 수많은 기획, 분석, 설계, 구현, 숨 막히는 시험, 그리고 심장이 쫄깃했던 오픈 단계를 거쳐, 드디어 프로젝트의 대장정에 마침표를 찍을 시간! 바로 '프로젝트 종료 단계'입니다! 🥳 (후아~ 이 말을 뱉는데 왜 이렇게 시원섭섭할까요? 마치 대입 수능을 끝낸 고3의 마음 같달까요? 😉)'종료'라고 하니 뭔가 '끝'이라는 느낌이 강하지만, 사실 이 단계는 단순한 마무리가 아닙니다. 우리가 흘린 피 땀 눈물로 탄생한 시스템이 고객사에서 안정적으로 뿌리내리고.. 2025. 6. 13.
쳇GPT(LLM) 파헤치기: 인공지능(AI)이 이렇게 똑똑해진 비밀!  🕵️‍♀️ 수다쟁이 PM의 LLM 파헤치기: 인공지능(AI)이 이렇게 똑똑해진 비밀! (기본기) 🕵️‍♀️안녕하세요, 수다쟁이 PM입니다! 🙋‍♀️ 요즘 인공지능, 특히 '챗GPT' 같은 친구들 덕분에 'LLM'이라는 단어를 정말 많이 듣게 되죠? LLM이 대체 뭐길래 이렇게 세상을 바꾸고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이 글은 프로젝트 관리자(PM), 사업관리자(PMO), 품질관리자(QA) 등 정보화 사업을 이끄는 전문가분들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다소 기술적인 개념들이 등장할 수 있지만, 최신 기술 동향의 기본 개념들을 이해하는 것은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과 미래 전략 수립에 필수적입니다. 그러니 잠시 집중해서 LLM의 핵심 원리를 함께 파헤쳐 볼까요? 🚀오늘은 여러분이 궁금해할 만한 LLM의 핵심 기술.. 2025. 6. 12.
공공 프로젝트(SI) 전환 단계: D-Day 카운트다운! '시스템 전환(오픈) 단계' 살아남기! (강철 멘탈의 PM! 🤯) 공공 프로젝트(SI) 전환 단계: D-Day 카운트다운! '시스템 전환(오픈) 단계' 살아남기! (강철 멘탈의 PM!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수다쟁이 PM입니다! 👋길고 길었던 프로젝트의 여정이 드디어 종착역에 다다랐습니다! 수많은 기획, 분석, 설계, 구현, 그리고 숨 막히는 시험 단계를 거쳐, 드디어 시스템이 세상에 첫선을 보이는 순간! 바로 '시스템 전환(오픈) 단계'입니다! 🥳 (이쯤 되면 제 턱 근육이 긴장으로 바들거리는 소리가 들리시죠? 하지만 방심은 금물! 오픈은 또 다른 시작이니까요! 😉)이 단계는 개발된 시스템을 실제 서비스 환경으로 배포하고, 안정적으로 운영을 시작하는 프로젝트의 최종 관문이자 결실입니다. 마치 마라톤의 마지막 스퍼트를 넘어, 결승선 앞 '골인 테이프'를.. 2025.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