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단계3 [실전 공공 프로젝트 바로 투입~] 🚀 첫 걸음의 시작! (1개월차: 착수 & 분석단계) [실전 공공 프로젝트 바로 투입~] 🚀 첫 걸음의 시작! (1개월차: 착수 & 분석단계)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수다쟁이 PM입니다! 👋길고 길었던 제안과 경쟁의 터널을 지나, 드디어 계약서에 '쾅!' 도장을 찍고 나면... 이제 진짜 전쟁의 서막이 오릅니다. 이름하여 프로젝트의 첫발! '착수 단계'와 '분석 단계의 시작'이죠! 🥳앞에서 공공 프로젝트(SI)의 착수부터 종료까지 쭈~욱 훑어 보았으니, 이제부터는 말 그대로 '실전 프로젝트'를 함께 시작해 볼까요? 특히 이번 연재에서는 폐쇄망 환경에서 고군분투해야 하는 SW 개발 프로젝트의 매주 벌어지는 리얼한 이야기들을 생생하게 전달해 드릴 예정입니다! (궁금해하실 산출물 서식들과 주옥같은 참고자료들은 추후에 '수다쟁이PM의 네이버 카페'를 통해.. 2025. 6. 16. Q. PM으로서 분석 단계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산출물은 무엇인가요? Q. PM으로서 분석 단계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산출물은 무엇인가요?A : 당연히 PM이 가장 매의 눈으로 봐야 할 '핵심 중의 핵심'은 바로 요구사항 정의서(RDD)입니다.왜 요구사항 정의서가 가장 중요할까요? 요구사항 정의서는 "우리가 무엇을 만들 것인가?"에 대한 고객과 개발팀 간의 유일한 합의문이자 약속입니다. 이 문서가 명확하지 않거나 불완전하면, 설계 단계에서 혼란이 오고, 개발 단계에서는 엉뚱한 결과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청사진'이라고 불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PM은 요구사항 정의서가 모든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정확히 반영하고, 모호함 없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었는지, 그리고 최종적으로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는지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요구사항 정의서는 마치 항해.. 2025. 6. 4. 공공 프로젝트(SI) 분석 단계: 분석 단계의 이해와 핵심 산출물, 찐으로 파헤치기! (PM 필독!) 공공 프로젝트(SI) 분석 단계: 분석 단계의 이해와 핵심 산출물, 찐으로 파헤치기! (PM 필독!)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수다쟁이 PM입니다! 👋오늘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초기 단계 중 하나인 '분석 단계'와 이 단계에서 PM이 반드시 챙겨야 할 '핵심 산출물'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분석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산출물을 꼽으라면 당연히 '요구사항 정의서' 이지만, 단순히 요구사항 정의서만 중요한 게 아니라는 사실! 🧐 현행 시스템 분석부터 개발 표준, 용어 사전, 그리고 WBS까지! 현직 PM의 경험과 공공 가이드라인을 싹 다 갈아 넣어 찐으로 도움이 되는 꿀팁을 전수해 드릴게요!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은 다음 내용을 얻어가실 수 있을 거예요.분석 .. 2025. 6.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