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룰 북(관련 규약, 법령 등)

SW 사업자를 위한 정보시스템 감리 준비 및 대응 가이드 (2023.2)

by 수다쟁이PM 2025. 7. 2.

SW_사업자를_위한_정보시스템_감리준비_가이드(2023.2).pdf
0.56MB

 

수다쟁이PM 의 한줄평 : '너의 모든 것을 문서로 증명하라!' 입니다. PM의 목숨줄은 역시 문서입니다!


[Ai 자료 요약] SW 사업자를 위한 정보시스템 감리 준비 및 대응 가이드 (2023.2)

요약 개요: 본 가이드는 행정안전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SW 사업자(수행사) 입장에서 정보시스템 감리를 효과적으로 준비하고 대응하는 데 필요한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는 실무 지침서입니다. 감리의 각 단계별로 사업자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그리고 감리 수행 절차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상세히 안내하여 감리 대응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프로젝트의 품질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내용:

  • 감리 개요: 정보시스템 감리의 목적, 법적 근거, 관련 용어 등을 정의하여 감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습니다.
  • 단계별 감리 준비: 프로젝트 생명주기에 따라 진행되는 세 가지 핵심 감리(요구정의, 설계, 종료 단계)에 대해 각 단계별로 사업자가 준비해야 할 사항과 주요 점검 항목을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 수행 절차별 대응 방안: 감리가 실제로 진행되는 절차(예비조사, 현장감리, 시정조치 확인)에 맞춰, 각 절차에서 사업자가 어떻게 자료를 제출하고, 의견을 제시하며, 지적사항을 조치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응 방법을 안내합니다.
  • 주요 점검항목 및 산출물: 감리원이 중점적으로 점검하는 사업관리, 품질보증, 시스템 아키텍처, 보안 등의 분야를 설명하고, 감리 대응 시 필수적으로 필요한 핵심 산출물(과업대비표, 요구사항추적표 등)의 목록과 서식을 제공합니다.

가이드 활용 시 핵심 사항:

  • 사전 준비 중심: 감리를 '닥쳐서 하는 일'이 아닌, 프로젝트 초기부터 각 단계별로 꾸준히 준비해야 하는 활동임을 강조합니다. '벼락치기'가 아닌 체계적인 준비를 통해 대응 품질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사업자(수행사) 관점: 발주기관이나 감리법인의 관점이 아닌, 감리를 받는 '사업자'의 입장에서 작성되어 실질적인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산출물 기반 대응: 모든 감리 대응은 '문서', 즉 잘 관리된 산출물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합니다. 감리원의 질문이나 지적사항에 대해 명확한 근거 자료(산출물)를 제시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려줍니다.
  • 절차적 투명성: 감리가 어떤 절차로 진행되는지 명확히 알려줌으로써, 사업자가 감리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혼란과 불안감을 줄여주고, 예측 가능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활용 추천 대상:

  • 정보화사업 수행사(SI 기업)의 PM 및 PL: 감리 대응을 총괄하고 실무를 책임지는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가장 필수적인 지침서입니다.
  • 품질 관리(QA) 및 형상 관리 담당자: 감리에 제출될 산출물의 품질과 버전을 관리하는 실무자에게 유용합니다.
  • 공공기관 정보화사업 발주 담당자: 수행사가 감리를 어떻게 준비하고 대응하는지 이해하여 원활한 사업 관리를 도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IT 감리 수검을 준비하는 모든 실무자: 감리라는 과정을 처음 겪거나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싶은 모든 개발자, 설계자 등에게 추천됩니다.

출처:

  • 자료명: SW 사업자를 위한 정보시스템 감리 준비 및 대응 가이드
  • 발간기관: 행정안전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 발간연월: 2023년 2월

모든 자료는 자료출처를 통해서 최신의 자료를 받아서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