룰 북(관련 규약, 법령 등)

정보시스템_감리_수행_가이드

수다쟁이PM 2025. 7. 2. 21:34

157_1_2.정보시스템_감리_수행_가이드.pdf
1.96MB

 

수다쟁이PM 의 한줄평 :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감리원의 '공격 루트'를 알 수 있는 최고의 공략집입니다."


[Ai 자료 요약]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2022.2)

요약 개요: 본 가이드는 감리법인 및 감리원이 정보시스템 감리를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표준 절차와 기준을 정의한 감리원의 교과서입니다. 이전의 '감리 준비 가이드'가 사업자(수행사)를 위한 방어 매뉴얼이었다면, 이 가이드는 감리원의 공격 전술서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사업을 수행하는 PM 입장에서는 이 가이드를 통해 감리원의 관점과 중점 점검사항을 미리 파악하여 더 효과적으로 감리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주요 내용:

  • 감리 수행 절차: 감리계획 수립부터 예비조사, 현장감리, 그리고 감리결과보고서 작성 및 시정조치 확인까지 감리원이 수행하는 A to Z의 모든 절차를 상세히 기술합니다.
  • 상주감리 수행 절차: 일반적인 감리와 달리, 프로젝트에 상주하며 지속적으로 감리를 수행하는 '상주감리'에 대한 별도의 절차와 활동을 정의합니다.
  • 사업 유형별 표준 점검항목: '시스템 개발 사업', '정보기술아키텍처 구축 사업' 등 사업 유형별로 감리원이 어떤 항목들을, 어떤 기준으로 점검해야 하는지에 대한 상세한 체크리스트를 제공합니다. (PM 입장에서는 시험 예상문제와 같습니다!)
  • 감리 결과 보고서 작성 기준: 감리원이 감리결과보고서, 시정조치확인보고서 등을 어떤 양식과 기준으로 작성해야 하는지 명시합니다.

가이드 활용 시 핵심 사항:

  • 감리원 관점의 이해: 이 가이드의 가장 큰 가치는 '감리원은 무엇을 보고, 어떻게 판단하는가'를 알 수 있다는 점입니다. 감리원의 시각으로 우리 프로젝트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돕습니다.
  • 체계적인 점검항목 활용: 가이드에 제시된 '표준 점검항목'은 감리 대응을 위한 최고의 '자가진단 체크리스트'가 될 수 있습니다. 실제 감리 전에 이 항목들을 보며 미리 자체 점검을 해보면 큰 도움이 됩니다.
  • 객관적 판단 기준 확보: 감리원이 어떤 기준으로 '적합/부적합/개선권고'를 판단하는지 알 수 있으므로, 감리 대응 시 더 명확하고 객관적인 근거 자료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 결과 보고서의 구조 파악: 감리원이 작성할 결과 보고서의 구조를 미리 알면, 감리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 계획 및 결과를 보고서 형식에 맞춰 더 효과적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활용 추천 대상:

  • 정보시스템 감리원 및 감리법인: 감리 업무의 표준 절차를 숙지해야 하는 주 독자층입니다.
  • 정보화사업 수검을 앞둔 PM/PL: 감리원의 평가 기준과 절차를 미리 파악하여 전략적으로 감리를 준비하려는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필독서입니다.
  • 발주기관 사업 담당자: 감리 용역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감리 결과를 정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출처:

  • 자료명: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 발간기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 발간연월: 2022년 2월

모든 자료는 자료출처를 통해서 최신의 자료를 받아서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