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자문자답)

Q. PM으로서 분석 단계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산출물은 무엇인가요?

수다쟁이PM 2025. 6. 4. 23:27

Q. PM으로서 분석 단계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산출물은 무엇인가요?

A : 당연히 PM이 가장 매의 눈으로 봐야 할 '핵심 중의 핵심'은 바로 요구사항 정의서(RDD)입니다.

  • 왜 요구사항 정의서가 가장 중요할까요? 요구사항 정의서는 "우리가 무엇을 만들 것인가?"에 대한 고객과 개발팀 간의 유일한 합의문이자 약속입니다. 이 문서가 명확하지 않거나 불완전하면, 설계 단계에서 혼란이 오고, 개발 단계에서는 엉뚱한 결과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청사진'이라고 불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PM은 요구사항 정의서가 모든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정확히 반영하고, 모호함 없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었는지, 그리고 최종적으로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는지 철저히 확인해야 합니다. 요구사항 정의서는 마치 항해를 떠나기 전 배의 최종 목적지를 명확히 하는 것과 같아요. 목적지가 불분명하면 표류하게 되겠죠? 🗺️
  • 요구사항 정의서 외에도 PM이 신경 써야 할 중요한 산출물:
    •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요구사항 정의서 를 통해 확정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프로젝트의 전체 작업을 계층적으로 분해한 WBS는 일정 계획, 자원 배분, 진척률 관리의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WBS가 튼튼해야 프로젝트가 흔들리지 않아요! 모든 작업이 명확히 정의되고, 책임자가 지정되었는지 확인하여 실제 개발이 시작되었을 때 혼란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 개발 표준 정의서: 개발팀이 일관된 품질과 보안 수준을 유지하며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발 가이드라인'입니다. 마치 집을 지을 때 건축 법규와 시공 표준이 있듯이,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명확한 표준이 있어야 고품질의 결과물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초기부터 보안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개발 표준을 확립하는 것이 미래의 잦은 보안 이슈를 막는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결론적으로, 요구사항 정의서는 '무엇을 만들지', WBS는 '어떻게 만들지(계획)', 개발 표준 정의서는 '어떤 기준으로 만들지(품질/보안)'를 결정하는 PM의 핵심 무기이니, 꼼꼼하게 관리하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

 

* 관련하여 추가로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