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A(자문자답)

Q. 프로젝트 종료 단계에 고객이 하자보수? 유지보수 계획에 대해서 제출해 달라는데, 하자보수와 유지보수의 차이가 뭔가요?

by 수다쟁이PM 2025. 6. 28.

Q. 프로젝트 종료 단계에 고객이 하자보수? 유지보수 계획에 대해서 제출해 달라는데, 하자보수와 유지보수의 차이가 뭔가요? 하자보수 계획서? 유지보수 계획서? 어떤 걸 써야 하고 어떤 내용으로 써야 하나요? 우리 프로젝트의 RFP에는 유지보수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요~

A. 핵심은 계약 범위와 책임 주체입니다! 딱 3가지로 명확히 정리해 드릴게요. 💡

  1. 하자보수 vs. 유지보수 핵심 요약:
    • 하자보수: 시스템 개발사 책임으로, 구축 시점에 발생한 결함/오류를 무상으로 수정해주는 활동.
      • 책임 기간: RFP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면 공공 프로젝트의 경우 통상 1년으로 진행됩니다.
      • 한 마디로 '공짜 A/S'! (원래 잘못 만들어진 부분 고쳐줘!)
    • 유지보수: 시스템 운영 단계에서 안정화, 성능 개선, 신규 기능 추가 등 유상으로 지속 관리하는 활동.
      • 한 마디로 '돈 내고 시스템 업그레이드 및 관리'! (더 좋게, 안정적으로 운영해줘!)
  2. 어떤 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나요? (RFP에 유지보수 없는 경우)
    • ✔️ 필수 제출: 하자보수 계획서!
      • 우리 프로젝트는 구축 계약이므로, 구축 과정의 품질을 보증하는 하자보수 계획서는 반드시 제출해야 합니다.
      • 주요 내용: 하자보수 범위 (어떤 하자가 포함/제외되는지 명확히!), 책임 기간(통상 1년), 접수/처리 절차, 그리고 '심각도별 하자 처리 목표 시간 (SLA)'를 포함해야 해요. 
    • ❌ 유지보수는 별도 '제안' 형태로!
      • RFP에 없었다면 유지보수는 현재 프로젝트의 계약 범위가 아닙니다.
      • 고객에게는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과 향후 발전을 위해 별도 유지보수 계약이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차년도 예산 확보 또는 별도 발주를 위한 '유지보수 사업 제안서' 형태로 접근해야 합니다. (여기에는 유상 유지보수 처리항목 범위, 투입 인력, 예상 비용 등이 포함되겠죠?)
  3.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투명한 협의!
    • 프로젝트 종료 시점에 하자보수 범위, 절차, 책임 기간, 그리고 (필요시) 유지보수 전환 방안에 대해 고객과 명확히 협의하고 문서로 합의를 남기는 것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오해와 분쟁을 막는 핵심입니다.